본문 바로가기
돈벌이연구소

직장인 · 1인사업자 실전 재테크 ②

by oneminuteidea 1분수익노트 2025. 6. 10.
반응형

 

 

1. 왜 지출 구조가 재테크의 핵심인가?

돈을 모으기 위한 첫 단계는 '더 벌기'가 아니라 '덜 새게 하기'입니다. 수입이 아무리 많아도 지출이 통제되지 않으면 자산은 쌓이지 않습니다. 많은 사회초년생과 자영업자가 재테크에 실패하는 가장 큰 이유는 고정지출과 무의식적인 소비 누수를 통제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.

2. 지출 구조의 3대 분류

  • ① 고정 지출: 매달 동일하게 나가는 지출 (예: 월세, 통신비, 구독료)
  • ② 변동 지출: 소비에 따라 달라지는 지출 (예: 식비, 유류비, 쇼핑 등)
  • ③ 일회성 지출: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비용 (예: 병원비, 이사비용, 경조사)

이 3가지 구조를 명확히 구분하고, 각각의 누수를 줄이는 것이 핵심입니다.

3. 고정 지출 점검 전략

모든 재테크 전략의 시작은 고정지출을 점검하는 것입니다. 아래 항목을 중심으로 세부 분석을 시작해봅니다.

  • 주거비: 월세/관리비/대출이자 포함. 수입의 25%를 넘지 않는 것이 이상적
  • 통신비: 요금제 재조정. 필요 없는 데이터/추가요금 제거
  • 보험료: 중복 보험 확인, 갱신형 → 비갱신형 전환 검토
  • 구독 서비스: 3개월 이상 사용하지 않은 항목은 정리

4. ‘세는 돈’ 정밀 추적법

당신도 모르게 빠져나가는 돈은 다음과 같은 경로로 누적됩니다.

  • 커피, 편의점, 배달앱 등 소액 지출 누적
  • 무의식적인 스트레스 소비(야식, 쇼핑몰 쿠폰 등)
  • 한 번 써보고 안 쓰는 앱/게임 유료 결제

1개월 간 1원 단위까지 소비 내역을 정리해보면, 10~20%의 불필요 지출이 발견됩니다.

5. 소비 트래킹 시스템 만들기

소비를 통제하려면 '기록'이 선행되어야 합니다. 아래 방법들을 추천합니다.

  1. ① 가계부 앱: 뱅크샐러드, 토스, 편한가계부 등 연동형 앱 활용
  2. ② 카드사 지출 내역 CSV 파일 다운 → 엑셀 정리
  3. ③ 카테고리화: 식비, 교통비, 여가비, 건강, 금융상품 등으로 분류

6. 구독 정리: 묻지마 자동이체를 점검하라

최근 1인 미디어와 IT서비스의 발달로 대부분의 소비자는 10개 이상 유료 구독을 유지합니다.

서비스 월요금 실사용 여부 정리 여부
넷플릭스 17,000원 한달 1회 이하 해지
왓챠 12,000원 전혀 안 봄 해지
멜론 8,900원 매일 듣는다 유지
MS 365 11,000원 업무에 필수 유지
리디셀렉트 9,900원 1년 미사용 해지

구독은 ‘한 번 정리하면 매달 절약’이라는 강력한 지출 절감 수단입니다.

7. 고정 지출 최적화 시뮬레이션

월 300만원 수입 기준 고정비 시뮬레이션:

[기존 고정지출 구조]
- 월세: 80만원
- 통신비: 13만원
- 보험료: 25만원
- 구독서비스: 7만원
→ 총합: 125만원 (수입 대비 41%)

[최적화 후 구조]
- 월세: 70만원 (보증금 조정)
- 통신비: 7만원 (요금제 변경)
- 보험료: 20만원 (통합상품 전환)
- 구독서비스: 2만원 (불필요 해지)
→ 총합: 99만원 (수입 대비 33%)

월 26만원 절약 = 연간 312만원 절감 효과

8. 사업자의 고정비 구조 최적화

1인사업자라면 다음 항목들을 특히 집중 점검해야 합니다:

  • 사무실 임대료: 필요면 1인 공유오피스로 이동
  • 전기/통신요금: 패키지 요금제로 변경
  • 결제 수수료: 카드사 및 PG사 조건 재협상
  • 광고비: 실적 기반 광고 방식으로 변경

매출은 유지하면서 비용을 낮추는 구조 전환이 핵심입니다.

9. 실전 체크리스트: 지출 구조 점검

  • [ ] 고정 지출 항목을 리스트화했다
  • [ ] 불필요한 구독 서비스를 해지했다
  • [ ] 1개월간 소비 카테고리를 분석했다
  • [ ] 가계부 앱 또는 수기 기록을 유지 중이다
  • [ ] 지출 흐름표를 정기 업데이트 중이다

📌 핵심 요약

지출은 습관이자 구조입니다.
구조를 바꾸지 않으면 절약은 절대 지속되지 않습니다.
수입이 적어도, 지출 구조가 정리되면 놀라운 속도로 자산이 늘어납니다.

 

🔜 다음 편 예고

③편: 정부 지원금 & 복지제도 100% 활용법
몰라서 못 받는 돈이 너무 많습니다. 청년·소상공인·근로자 대상 정부 제도 총정리로 다음 편에서 이어집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