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정부지원금 완전정복

청년 창업 지원금 완전 정리: 초기 자금부터 컨설팅까지

by oneminuteidea 1분수익노트 2025. 6. 16.
반응형

창업을 꿈꾸는 청년들에게 가장 큰 장벽은 자금과 실전 경험입니다. 다행히 정부에서는 만 39세 이하 청년을 대상으로 다양한 창업 초기자금, 교육, 멘토링, 사무공간, 세금 감면까지 포괄적인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

이번 글에서는 청년창업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국가 + 지자체 창업 지원금 제도를 모두 정리해드릴게요.


1. 청년창업 지원금이란?

정부가 만 19세~39세 이하 청년이 사업을 시작할 수 있도록 자금을 대출 또는 보조금 형태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창업 자금 외에도 다음 항목이 함께 지원됩니다.

  • ✔ 사무공간 (창업보육센터, 공유오피스 등)
  • ✔ 경영 컨설팅, 멘토링, 회계·세무 지원
  • ✔ 초기 마케팅·디자인 비용
  • ✔ 법인 설립 및 지식재산권 등록 지원

2. 대표 창업 지원 프로그램 TOP 5

① 청년창업사관학교

  • 운영기관: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
  • 지원내용: 최대 1억 원(70% 정부 보조금), 창업공간, 마케팅/회계 등 컨설팅 제공
  • 신청자격: 만 39세 이하 예비 창업자 또는 창업 3년 이내 대표자
  • 신청시기: 연 1~2회 공고, 중진공 홈페이지

② 초기창업패키지

  • 운영기관: 창업진흥원
  • 지원내용: 최대 1억 원(정부지원금), 전담 매니저 배정, 창업보육기관 연계
  • 신청자격: 창업 3년 이내 초기 스타트업
  • 신청시기: 상반기 정기 모집, K-Startup 공고

③ 예비창업패키지 (청년특화)

  • 운영기관: 창업진흥원
  • 지원내용: 최대 1억 원, 전액 정부지원, 창업 전 교육 포함
  • 신청자격: 만 39세 이하 예비창업자 (사업자 미등록 필수)

④ 청년내일채움공제 활용 창업

  • 운영기관: 고용노동부
  • 지원내용: 중소기업 재직 중 퇴직 후 창업 시 최대 2,400만 원 적립금 수령 가능

⑤ 농촌청년창업바우처

  • 운영기관: 농림축산식품부
  • 지원내용: 월 최대 100만 원, 연간 1,200만 원 사업자금 + 정착지원

3. 지역별 청년 창업 지원금

지역 지원금 조건 비고
서울 청년창업 1000 프로젝트 만 19~39세, 초기 법인 또는 개인사업자 사무공간 + 시제품 제작 지원
경기 청년창업지원금 도내 창업 1년 이내 청년 월 50만 원, 최대 1년
부산 부산 창업성장지원금 창업 초기 기업 (만 39세 이하) 운영비 + 마케팅 + 교육비
전남 전남 청년창업몰 도내 거주 및 창업한 청년 임대료 지원, 상설 매장 운영 기회

4. 창업 전 반드시 확인할 체크리스트

  • ✅ 사업자 등록 전 미리 ‘예비창업자’ 공고 여부 확인
  • ✅ 본인 소득, 재산 조건 제한 있는 제도도 있음
  • ✅ 복수지원 불가 항목 존재 (패키지 중복 불가 등)
  • ✅ 반드시 K-Startup에서 사전 공고 체크

5. 창업 이후 연계 지원 제도

  • 창업도약패키지: 3~7년차 기업 대상 성장자금 최대 3억 원
  • 정책자금 대출: 청년창업자금, 신용보증기금 보증 연계
  • 법인세 감면: 창업 후 5년간 법인세 50~100% 감면
  • 지식재산권 지원: 특허 출원 비용 최대 70% 지원

6. 요약 및 추천 활용 전략

  • ✔ 예비창업자라면 ‘예비창업패키지’ 우선 신청
  • ✔ 창업 1~3년차는 ‘초기창업패키지’ 또는 ‘청년사관학교’
  • ✔ 농어촌, 비수도권 지역 창업 시 특화 바우처 병행 가능
  • ✔ 창업 → 내일채움공제 적립 → 퇴직금 기반 투자 연계

📌 지금 가능한 창업 지원금 공고는? K-Startup 바로가기

 

반응형